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FOMC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미국증시 폭락, 나스닥 하루 낙폭 4%, 폭락장의 시작인가

by 주식놀이 2024. 12.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이 있고 나서 미국 증시는 폭락했습니다. 특히 나스닥 지수의 하루 낙폭은 4%로, 아침에 일어나서 처음 계좌를 봤을 때, 잘못 본 줄 알았습니다.

분명 어제만 해도 나스닥이 2만 위에 있었는데, 마치 꿈을 꾼 듯합니다. 분명 경제 지표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았는데...

기사를 찾아보니 내년 전망에 대한 연준의 스탠스가 바뀐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은 우리에게 아주 오랫동안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들립니다.

이제 지겹도록 듣던 폭락장의 시작일까요?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25년 전망치

12월 FOMC 이전까지, 이와 관련한 뉴스 기사나, 분위기는 전혀 못 느꼈습니다.

여러 기관들의 내년 S&P 500 전망치를 보면, 굉장히 긍정적입니다. 유명 기관들도 연준의 스탠스가 이렇게 급격하게 바뀔 것이라 예상을 못 했을까요?

또한 이번 FED 보고서에서는 24년 3분기 미국 가계 순 자산이 사상 최대치에 도달했다고 했습니다.

자료출처 FED

그런데, 25년도 금리 인하를 아예 하지 않겠다고 한 것도 아니고, 금리 인하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발언에 이만큼의 폭락은 사실 받아들이기 쉽지 않습니다.

계속 우려하던 미국 증시의 거품이 꺼지고, 폭락의 시작인 걸까요?

 

 

 


폭락의 이유

이번 폭락의 이유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금리 인하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금리 조정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강조되었으며, 인플레이션 목표치(2%)에 따라 긴축 정책이 재강화될 가능성이 언급되었습니다. 또한, 내년 금리 인하 계획이 기존 네 차례(1.0% p)에서 두 차례(0.5% p)로 축소되었습니다.

24년 9월 첫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25년에도 점진적인 금리 인하로 고금리 시대가 끝이 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이러한 전망은 틀린 것 같습니다.

출처 WSJ

이번 회의에서 파월 의장은 "이제부터는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으니,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해 더욱 신중히 접근할 것입니다."라고 발언했습니다.


 

12월 FOMC 이전, 2025년 금리 예상치

출처 FED WATCH

12월 FOMC 이후, 2025년 금리 예상치


 

 

앞으로 어떻게?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식에 있어 정답은 없지만, 우리는 평소 하던 대로 하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나스닥 지수가 하루 만에 4% 이상 급락하는 변동성은 우리가 많이 겪어왔습니다.

2022년부터 시작된 금리 인상과 긴축 정책으로 나스닥은 4% 이상 하락을 수도 없이 겪었습니다. 우리가 23년도 상승장에서 그새 까먹어 버린 것 같습니다.

출처 조선일보

하루에 5.2% 하락한 2022년 9월 13일

출처 아주경제

나스닥과 S&P 모두 4% 이상 하락한 2022년 5월 19일

이 외에도 2022년은 수도 없이 많은 4% 하락을 맞이했었습니다.

  • 1월 24일: 장중 최대 4.9% 하락 후 소폭 반등
  • 5월 5일: 연준의 금리 인상 발표 직후 4.99% 하락
  • 6월 13일: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후 4.68% 급락
  • 6월 16일: 연준의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4.08% 하락
  • 12월 28일: 경기 침체 우려로 4.09% 하락.
  • 9월 14일: 인플레이션 우려로 4.06% 하락.
  • 10월 7일: 고용 지표 발표 후 4.05% 하락.
  • 11월 2일: 연준의 금리 인상 발표로 4.02% 하락.


 

장기적 우상향 할 것이라는 믿음

나스닥 2022년

2022년 1월 3일 정점을 찍은 후 시장은 2년 넘게 지속된 하락세로 -25.4% 하락했습니다.

나스닥 2022년 ~ 2024년

하지만 현재, 그 길었던 하락을 마치고 전 고점을 넘어서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S&P 500 2022년 ~ 2024년

S&P 500지수 또한 마찬가지로, 22년도의 길고 긴 하락을 마치고 전 고점을 넘어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폭락장이 온다면?

코로나 폭락장 시기 나스닥 지수

코로나 폭락장 당시 S&P 500

팬데믹이었던 2020년 폭락장은 어떨까요?

코로나 팬데믹 초기, 나스닥은 두 달 만에 20% 이상 하락했지만 그해 말에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그 외 폭락했던 시기들은 어떨까요?

나스닥 30년

S&P 500 30년

우리가 겪었던 2008년, 2018년, 2022년 폭락장도 결국 지나갔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장기투자는 하락 이후 이후의 반등 시기에 더 큰 수익을 얻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기적인 변동성이 아니라 장기적인 시장 성장입니다. 또한, 나스닥의 4% 이상의 하락은 드문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닷컴 버블과 같은 폭락만 없으면 이번 4% 폭락은 저가매수의 기회로 잡고 천천히 진입해야겠습니다.

기대했던 산타랠리가 물 건너 가서 굉장히 슬프네요. 경제지표 자체는 좋으니 이번 폭락은 미국이 준 할인 기간으로 생각해야겠습니다.

 

 


 

 

펩시 vs 코카콜라: 워렌 버핏은 왜 펩시를 선택하지 않았을까? 기업 비교 (2)

안녕하세요,지난번에 펩시코와 코카콜라의 배당을 비교하며 두 기업의 특징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워런 버핏과 코카콜라의 특별한 관계, 그리고 펩시코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teem5.tistory.com

 

 

연 10% 목표 고배당 ETF -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상품 알아보기, 12월 분배금 배당금

출처 미래애셋자산운용최근 월배당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특히 월배당에 커버드콜 옵션을 붙인 상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나도 월배당에 관심이 많아서 관련 상품을 자주 찾아보는데, 커

teem5.tistory.com

 

 

따릉이 정기권 환불금액 알아보기

안녕하세요​평상시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는데, 일일권만 쭈욱 사용을 해 왔었는데, 가계부를 보다가 따릉이 요금이 생각보다 크게 나오더라고요, 너무 자주 이용했나.. 그래서 한 달 전에 정기

teem5.tistory.com

 

 

미국 주식 ETF 비교할 때 확인해야 할 것은? - 내가 고려하는 네 가지 팁

안녕하세요제가 투자하고 있는 미국 주식의 80%는 ETF입니다. 개별 주식은 신경 쓸 것이 은근히 많더라고요. 그래서 그런지 마음 편한 ETF를 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그런데 ETF를 구매할 때에,

teem5.tistory.com

 

 

미국주식 페니스탁, 대박과 쪽박을 왔다 갔다 한 대기업들 (2)

안녕하세요!​오늘은 어제 작성했던 페니스탁 글에 이어서 하나 더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어제는 페니스탁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오늘은 페니스탁에서 성공을 이룬 기업과, 반대로 페니스탁

teem5.tistory.com

 

 

RLUSD 리플 스테이블 코인 승인 발표

안녕하세요​코인 시장이 요새 불장인데요. 얼마 전 또 호재가 생겼습니다.​리플 스테이블 코인(RLUSD)가 최종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입니다. 리플 주주분들 너무 부럽습니다. 10일 브래드 갈링하

teem5.tistory.com

 

 

두 달 치 월세 돌려받기,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신청

​작년 행복주택이 기간 만료되어, 올해 1월부터는 오피스텔에서 월세로 임차하여 지내고 있다. 요즘 월세값이 비싸다 비싸다 하는 소리를, 뉴스를 통해 귀로 듣기만 하다가 몸소 느끼기 시작한

teem5.tistory.com

 

 

금리인하요구권 신청후기 - 기준금리 인하했으니 대출금리도 내릴까?

11월 28일에 한국은행이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연 3.0%로 인하했습니다.​기준금리 인하로 인해서 대출금리도 인하가 될지 기대가 되네요. 저는 신용대출을 받아서 사용 중인데요매달 이자 상환

teem5.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