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 작성했던 페니스탁 글에 이어서 하나 더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어제는 페니스탁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오늘은 페니스탁에서 성공을 이룬 기업과, 반대로 페니스탁 수준으로 하락한 기업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페니스탁은 하고 있지 않지만, 가끔 이렇게 들으면 페니스탁의 변동성에 정신 못 차리겠더라고요. (페니스탁은 죽어도 하지 않을 예정..), 만약 제가 이런 기업들의 주주였다면, 바로 손절 나간 뒤에 쳐다도 보지 않았겠죠..
구경 좀 하다 보니 페니스탁에서 대기업으로 왔다 갔다 한 기업들이 몇 개 있더라고요. 그중에서 다들 알만한 기업들만 골라와봤습니다.
우리가 지금 다 알만한 대기업들도 어느 순간 페니스탁 수준으로 돌아갈까요? 당시 이 기업들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꿈에도 생각 못 했듯이, 아마 저도 그러겠죠.
페니스탁에서 대기업으로,
지옥에서 돌아온 AMD

처음은 페니스탁 가격에서 돌아온 AMD입니다. 지금은 누구나 알 만한 미국의 반도체 기업입니다.
AMD는 CPU와 GPU를 설계,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0년대 인텔과의 경쟁에서 밀리며 위기를 겪으면서 주가가 페니스탁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AMD 당시 주가 차트. 5달러 미만에서 횡보
이후 AMD는 2017년 라이젠 시리즈 출시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였고, 현재는 데이터센터와 CPU 시장에서 빠르게 인텔의 자리를 대체하며 반도체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AMD 10년 차트. 2017년도 즈음부터 상승하여 반도체 대표 기업으로 거듭
AMD는 현재 약 140$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인텔의 주가
반면, 당시 CPU 계의 절대 강자였던 인텔은, 현재 힘을 못 쓰고 있습니다. 무려 97년도(27년 전) 주가로 돌아갔네요. (타임머신이 있다면 여기에)
여기서 80%가량 더 빠지면, 약 5 $가 되면서 페니스탁 수준으로 가겠네요.
대기업에서 페니스탁 가격으로,
지옥으로 들어간 코닥(KDOK)

사진 필름의 대명사였던 코닥
AMD와는 반대로, 지옥으로 들어간 기업 코닥입니다. 우리가 다 아는 그 사진, 필름 회사입니다. 최근에 의류 브랜드로 많이 보이더라고요.
코닥은 과거 전 세계 사진 필름 시장을 지배했던 기업으로, 사진과 영상 기술의 선구자로 불렸습니다. 90년대 일회용 필름 사진?인가요. 그거 죄다 코닥이었던 기억이 있네요.
코닥의 하락 이유를 간략히 보면,
- 디지털 혁명 대응 실패: 90년대 디카와 스마트폰 등장 이후, 디지털 전환에 대응이 늦었습니다.
- 시장 점유율 하락: 디지털 전환이 늦으면서 시장 점유율 하락
- 재정 악화: 매출 감소, 재정위기로 2012년 파산 보호 신청
이 세 가지 이유가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코닥이 현재는 사진 필름 대신 프린터 기술과 화학 산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 옷들입니다.

코닥 의류
오늘은 페니스탁 얘기를 하다가 생각난 기업들, AMD, 인텔, 코닥 얘기를 가져와봤습니다. 제가 어렸을 적 컴퓨터를 사면서 견적을 뽑을 때, CPU는 무조건 인텔 거로 견적을 냈었습니다. 당시 AMD는 어린 제가 보기에도 인텔에 밀린 회사라는 느낌을 받았었거든요.
그런데 지금 이렇게 되리라고는 정말 생각도 하지 못했네요. 당시 인텔은 지금 힘을 못 쓰고 올라올 기미가 보이질 않는 반면에, AMD는 끝을 모르고 오르고 있습니다. 코닥도 마찬가지고요.
그렇게 망하지 않는다는 1위 기업들이 무너지는 모습들이 속속 보이는데, 솔직히 조금 두렵습니다. 제 포트폴리오는 1위 기업들만 있거든요.. 후
이참에 ETF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하나 싶습니다. 괜히 페니스탁 얘기하다가 걱정만 가득이네요.
올해 수익률 1위인 한국 ETF는? - 섹터와 국가, 종목 알아보기
안녕하세요올해가 이제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올해를 돌아보면서 이것저것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2024년이 시작하면서 세웠던 올해 목표들(절반도 못 이룸 ㅠ) 그리고 사진 정리도
teem5.tistory.com
이제야 실감 나는 육아휴직 제도, 2025년 변경점
출처 고용노동부나는 아이가 아직 없어서, 아이를 가진 입장을 정확히는 모르지만, 여태 정부가 발표한 출산율 관련 정책들은, 나에게 딱히 다가오지 않았다. 굉장히 붕 뜬 것 같은 느낌을 받았
teem5.tistory.com
미국주식 페니스탁, 대박과 쪽박을 왔다 갔다 한 대기업들 (2)
안녕하세요!오늘은 어제 작성했던 페니스탁 글에 이어서 하나 더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어제는 페니스탁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오늘은 페니스탁에서 성공을 이룬 기업과, 반대로 페니스탁
teem5.tistory.com
나스닥·S&P 고점 속 숨은 안전자산, 경기방어주 ETF
안녕하세요미국 나스닥과 S&P가 항상 그렇듯이,연일 고점을 갱신하고 있습니다.미국 증시가 고점을 갱신하면 할수록미국에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기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불안함
teem5.tistory.com
금리인하요구권 신청후기 - 기준금리 인하했으니 대출금리도 내릴까?
11월 28일에 한국은행이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연 3.0%로 인하했습니다.기준금리 인하로 인해서 대출금리도 인하가 될지 기대가 되네요. 저는 신용대출을 받아서 사용 중인데요매달 이자 상환
teem5.tistory.com
RLUSD 리플 스테이블 코인 승인 발표
안녕하세요코인 시장이 요새 불장인데요. 얼마 전 또 호재가 생겼습니다.리플 스테이블 코인(RLUSD)가 최종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입니다. 리플 주주분들 너무 부럽습니다. 10일 브래드 갈링하
teem5.tistory.com
이제야 실감 나는 육아휴직 제도, 2025년 변경점
출처 고용노동부나는 아이가 아직 없어서, 아이를 가진 입장을 정확히는 모르지만, 여태 정부가 발표한 출산율 관련 정책들은, 나에게 딱히 다가오지 않았다. 굉장히 붕 뜬 것 같은 느낌을 받았
teem5.tistory.com
두 달 치 월세 돌려받기,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신청
작년 행복주택이 기간 만료되어, 올해 1월부터는 오피스텔에서 월세로 임차하여 지내고 있다. 요즘 월세값이 비싸다 비싸다 하는 소리를, 뉴스를 통해 귀로 듣기만 하다가 몸소 느끼기 시작한
teem5.tistory.com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수익률 1위인 한국 ETF는? - 섹터와 국가, 종목 알아보기 (4) | 2024.12.25 |
---|---|
펩시 vs 코카콜라: 워렌 버핏은 왜 펩시를 선택하지 않았을까? 기업 비교 (2) (2) | 2024.12.25 |
FOMC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미국증시 폭락, 나스닥 하루 낙폭 4%, 폭락장의 시작인가 (1) | 2024.12.25 |
나스닥·S&P 고점 속 숨은 안전자산, 경기방어주 ETF (1) | 2024.12.25 |
내 포트폴리오 겹치는 건 없을까? - ETF 비중 체크하고 점검해 보기 (1)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