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0

[주식] 엔비디아 실적 발표, 주가와 향후전망 실적오늘 아침 한국시간 06시에 엔비디아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24년도 3분기 엔비디아 실적, 예상치 상회일단, 엔비디아 실적은 예상치를 모두 상회하며 서프라이즈를 냈습니다. 매출: $35.1억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데이터 센터 매출: $30.8억 (112% 증가, 예상치 $29억 초과).게이밍 부문 매출: $3.3억 (전년 동기 $2.8억 대비 상승).​주당 순이익(EPS): $0.81 (예상치 $0.75~$0.74 상회).4분기 매출 전망: $37.5억(±2%), 월가 예상치($37.1억) 상회. 어닝 서프라이즈, 그러나 시간 외 하락엔비디아 주가 차트. 20일 하루엔비디아가 AI 수혜를 받으면서 급등한 뒤로, 어느 때와 같이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하였습니다. 그런데 주가는 딱히 반응이 없었.. 2024. 11. 21.
[주식] 엔비디아 실적발표, 내 레버리지는 어떻게? 안녕하세요 주식 하시는 분들은 아마 다들 체크해 두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내일은 2024년 3분기 엔비디아 실적발표가 있습니다. (한국시간 11월 21일 목, 오전6시). 주식하시는 분들이라면, 무시할 수 없는 일정일듯 합니다. 현재 증시는 미국주식이 주도를 하고 있고, 그 중에서 빅테크가 이끌어가고 있는데, 그 빅테크를 이끌어가고 있는 대장주 중에 하나입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에 따라 다른 기술주들의 영향을 많이 주기 때문에 이런 대장주들의 실적발표는 괜히 긴장이 됩니다. 저는 주식을 미국주식을 주로 하고 있고, 그 중에서 빅테크 위주의 포트폴리오(99%)를 짜 두었기 때문에, 반드시 실적이 잘 나와야 되는 상황입니다. 젠슨 황 제발요(자산배분은 시드가 작아서 아직 아무 소용이 없는듯 ㅠ) 월가 실적.. 2024. 11. 21.
[정보] 통계로 보는 자격증 - 순위 (1) 안녕하세요.얼마 전에 흥미로운 통계자료를 보았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조사한 "접수 인원이 가장 많은 자격증 순위"였는데요. 저는 자격증을 많이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통계자료에서 제가 취준생 때 접수했었던 자격증들이 몇몇 보였습니다. 취준할 때 자격증 따는 게 개인적으로는 가장 답답했습니다. 제가 준비했던 자격증은 실무에 도움이 되지 않고, 그저 가산점을 위한 자격증이었거든요. 심지어 제가 딴 자격증은 저희 회사에서 가점이 적용되지 않는 자격증이었습니다. 그때는 어느 회사든 붙어야 하니 딸 수 있는 건 다 땄었는데, 갑자기 그때의 무거웠던 기분이 느껴지네요. 해당 자료에는 취준생 때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많이 들었던 자격증이 많은 것 같아서 가져왔습니다. 아마 다들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 2024. 11. 20.
[정보] 겨울 국내 여행, 스키장 여행? - 전국 스키장 개장 일정 안녕하세요.하루아침에 영하의 날씨로 바뀌면서 날씨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올겨울은 유난히 추울 것이라는 소식이 자주 들려오는데, 이렇게 추운 겨울, 국내 여행지로 스키장을 가보는 건 어떨까요? 저는 스키장을 20대 때는 매년 갔던 것 같은데, 어느 순간 잘 안 가게 되더라고요. 스키장을 가면 처음엔 너무 좋은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너무 추워서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스키장이니까 추운 게 당연하고, 추우면 추울수록 좋은 건데, 그땐 춥다고 불평했던 것 같습니다. 스키장 글을 작성하다 보니 옛날 생각이 나면서 스키장이 자꾸 땡기네요. 올겨울은 저도 스키장 계획을 한번 세워봐야겠습니다. 경기도/강원도 스키장 개장 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역별 가나다순)경기도 곤지암 리조트 곤지암 리조트.. 2024. 11. 19.
[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2) [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1)먼저 작성한 ETF 실제 수수료 차이를 알아보는 글에 이어서 ETF 수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수수료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수수료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ETF 수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ETF 수수료(운용보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어차피 투자할 때에 최종수수료(운용보수)만 확인하면 됩니다. 각 수수료 종류의 정의에 대해서 모른다고 투자를 못하는 것도 아니고, 알더라도 어차피 며칠 지나면 까먹을테니까요.  크게 3가지,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입니다.1. 총보수총 보수는 한마디로 ETF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데 드는 비용입니다. 마치 우리가 아파트 관리를 위해 관리비를 내는 것과.. 2024. 11. 18.
[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안녕하세요 요새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갖고 있는 ETF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운용사들이 홍보하는 ETF 수수료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수수료가 낮게 보이도록 홍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우리가 투자할 때에 중요한 결정 요소이기 때문에, 운용사들이 홍보하는 수수료와 실제 수수료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우리나라 대표적인 자산운용사(KODEX, TIGER) 2군데만 골라서 이 자산운용사에서 홍보하는 ETF 홍보물을 살펴보겠습니다. 각각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가장 먼저 보이는 ETF를 아무거나 눌러보겠습니다. 1. KODEX 위 3장의 사진은, KODEX 메인 홈페이지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ETF이며, 해당 상품에서.. 2024.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