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1)
먼저 작성한 ETF 실제 수수료 차이를 알아보는 글에 이어서
- ETF 수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 수수료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 수수료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 수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ETF 수수료(운용보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어차피 투자할 때에 최종수수료(운용보수)만 확인하면 됩니다. 각 수수료 종류의 정의에 대해서 모른다고 투자를 못하는 것도 아니고, 알더라도 어차피 며칠 지나면 까먹을테니까요.
크게 3가지,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입니다.
1. 총보수
총 보수는 한마디로 ETF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데 드는 비용입니다. 마치 우리가 아파트 관리를 위해 관리비를 내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는 우리가 실제로 지불해야하는 수수료의 합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불을 하진 않고, ETF의 가격에서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2. 기타비용
ETF가 운용되는 과정에서 추가 비용입니다. ETF 내의 종목을 매매할 때 발생하는 거래 비용과 회계/규제 및 감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들이 있습니다.
3. 매매중개 수수료
ETF를 매매할 때에(내가) 증권사에 지불하는 수수료입니다. 주식 거래세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실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ETF로 매수매도를 자주 하시는 분이 아니시면 딱히 신경 쓸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즉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 수수료의 합이 우리가 부담하는 수수료(운용보수) 입니다.
수수료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수수료(운용보수) 차이라기보다는 굳이 투자자들에게 설명하지 않는 느낌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 중에서 우리에게 홍보하는 것은 총보수 위주로 홍보하기 때문입니다. 굳이 우리같은 투자자들이 해당 ETF의 공시까지 찾아가며 전체 수수료(운용보수)를 합산하기는 생각보다 번거로운 일이니까요.
ETF상품 수수료(운용보수)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먼저, 해당 상품에는 0.39%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상품 공시를 찾아보면, 0.4362%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한번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3번째 문단에서 설명드리겠지만, 최종 수수료(운용보수는)
0.44+0.1106 = 0.5506%
해당 운용사에서 홍보하는 0.39%와 0.16%가량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수수료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최종적인 수수료(운용보수)는 어떻게 확인하면 될까요?
1.검색창에 '금융투자협회'로 검색을 하시면 나오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https://dis.kofia.or.kr/websquare/index.jsp?w2xPath=/wq/main/main.xml
금융투자협회
dis.kofia.or.kr
해당 사이트로 접속을 한 뒤에 다음 사진과 같이 접속합니다.
2.그 다음, 아래 사진을 따라서 접속합니다.
해당 화면에서 ETF 관련 수수료(운용보수)를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종 수수료(운용보수)는 보수율합계 A, 기타비용 B, 판매수수료 C, 매매·중개수수료 D 입니다. 이 4가지를 모두 합산하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까지 찾아오는데도 상당히 번거로웠고, 복잡스러웠기 때문에 그냥 2가지만 계산하겠습니다. TER(A+B)와 맨 오른쪽 매매·중개수수료(D) 부분만 더하면 우리가 원하는 최종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1. 금융투자협회 사이트 접속
2. 펀드명 검색
3. 우측에 '넓게보기' 클릭
4. 항목 합산 (TER + 매매·중개수수료)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엔비디아 하락, 주가와 2배 레버리지 (4) | 2024.11.26 |
---|---|
[정보] 키움 미국 주식 배당금 세금 징수 (4) | 2024.11.22 |
[주식] 엔비디아 실적 발표, 주가와 향후전망 (3) | 2024.11.21 |
[주식] 엔비디아 실적발표, 내 레버리지는 어떻게? (2) | 2024.11.21 |
[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6)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