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2)

by 주식놀이 2024. 11. 18.
반응형

 

[주식] ETF 수수료,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 (1)


먼저 작성한 ETF 실제 수수료 차이를 알아보는 글에 이어서

  •  ETF 수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 수수료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 수수료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 수수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ETF 수수료(운용보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어차피 투자할 때에 최종수수료(운용보수)만 확인하면 됩니다. 각 수수료 종류의 정의에 대해서 모른다고 투자를 못하는 것도 아니고, 알더라도 어차피 며칠 지나면 까먹을테니까요. 

 

크게 3가지,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입니다.

1. 총보수

총 보수는 한마디로 ETF를 관리하고 운용하는 데 드는 비용입니다. 마치 우리가 아파트 관리를 위해 관리비를 내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이는 우리가 실제로 지불해야하는 수수료의 합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불을 하진 않고, ETF의 가격에서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2. 기타비용

ETF가 운용되는 과정에서 추가 비용입니다. ETF 내의 종목을 매매할 때 발생하는 거래 비용과 회계/규제 및 감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들이 있습니다. 

 

3. 매매중개 수수료 

ETF를 매매할 때에(내가) 증권사에 지불하는 수수료입니다. 주식 거래세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실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ETF로 매수매도를 자주 하시는 분이 아니시면 딱히 신경 쓸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즉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 수수료의 합이 우리가 부담하는 수수료(운용보수) 입니다.

 

수수료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수수료(운용보수) 차이라기보다는 굳이 투자자들에게 설명하지 않는 느낌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  중에서 우리에게 홍보하는 것은 총보수 위주로 홍보하기 때문입니다. 굳이 우리같은 투자자들이 해당 ETF의 공시까지 찾아가며 전체 수수료(운용보수)를 합산하기는 생각보다 번거로운 일이니까요. 

 

ETF상품 수수료(운용보수)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먼저, 해당 상품에는 0.39%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해당 자산운용사 홈페이지 ETF 설명, 0.39%

 

하지만 해당 상품 공시를 찾아보면, 0.4362%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펀드 공시 홈페이지 화면, 0.4362%

 

여기서 한번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3번째 문단에서 설명드리겠지만, 최종 수수료(운용보수는)

0.44+0.1106 = 0.5506% 

해당 운용사에서 홍보하는 0.39%와 0.16%가량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펀드 공시 상세화면, 최종 0.5506%

 

수수료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최종적인 수수료(운용보수)는 어떻게 확인하면 될까요?

 

1.검색창에 '금융투자협회'로 검색을 하시면 나오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https://dis.kofia.or.kr/websquare/index.jsp?w2xPath=/wq/main/main.xml

 

금융투자협회

 

dis.kofia.or.kr

해당 사이트로 접속을 한 뒤에 다음 사진과 같이 접속합니다.

 

2.그 다음, 아래 사진을 따라서 접속합니다. 

1. 펀드공시 2. 펀드 보수 및 비용

 

찾고자 하는 펀드명을 입력합니다. 본인은 'KODEX AI반도체'로 검색하였습니다.

 

1. 우측 상단 넓게보기를 클릭 2. 하단 스크롤바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해당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화면에서 ETF 관련 수수료(운용보수)를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종 수수료(운용보수)는 보수율합계 A, 기타비용 B, 판매수수료 C, 매매·중개수수료 D 입니다. 이 4가지를 모두 합산하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까지 찾아오는데도 상당히 번거로웠고, 복잡스러웠기 때문에 그냥 2가지만 계산하겠습니다. TER(A+B) 맨 오른쪽 매매·중개수수료(D) 부분만 더하면 우리가 원하는 최종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1. 금융투자협회 사이트 접속

2. 펀드명 검색

3. 우측에 '넓게보기' 클릭

4. 항목 합산 (TER + 매매·중개수수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