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0 올해 수익률 1위인 한국 ETF는? - 섹터와 국가, 종목 알아보기 안녕하세요올해가 이제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올해를 돌아보면서 이것저것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2024년이 시작하면서 세웠던 올해 목표들(절반도 못 이룸 ㅠ) 그리고 사진 정리도 좀 하고 가계부 적었던 것도 둘러보면서 올해 마무리를 하고 있습니다.마무리를 하는 김에 아직 한 달 남았지만, 올해 ETF 수익률을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아마 미국 기술주 기업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한 ETF가 1위가 아닐까 생각했는데, 예상이 맞았습니다. 아마 다들 같은 생각이었을 것 같습니다. ETF 수익률 탑 5올해 1위 ETF TIMEFOLIO 미국 나스닥 100 액티브입니다.해당 ETF 개요.2022년 5월에 상장, 3년이 채 되지 않은 ETF인데 성과가 좋네요. 해당 ETF 보유하신 분들 부럽습니다. 해당.. 2024. 12. 25. 펩시 vs 코카콜라: 워렌 버핏은 왜 펩시를 선택하지 않았을까? 기업 비교 (2) 안녕하세요,지난번에 펩시코와 코카콜라의 배당을 비교하며 두 기업의 특징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워런 버핏과 코카콜라의 특별한 관계, 그리고 펩시코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워렌 버핏은 1988년 약 12억 달러를 투자해 코카콜라 지분의 7%를 매입하며 이를 대표적인 장기 투자 사례로 만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코카콜라의 가장 큰 경쟁자인 펩시코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두 기업은 어떤 차별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버핏의 투자 철학과 두 기업의 특징을 통해 그 답을 찾아보겠습니다. 버핏의 투자 철학과 코카콜라 선택 이유1. 이해하기 쉬운 비즈니스 모델버핏은 항상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사업에는 투자하지 않는다"라고 말합니다. 코카콜라는 음료 사업에 집중하며 단순하.. 2024. 12. 25. 올겨울,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혜주가 있을까? 미국 주식과 한국 주식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갑자기 내린 폭설로 인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근데 제가 주식투자를 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지구온난화 관련해서 겨울에 매수하기 좋은 기업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이 나더라고요. 제가 국장은 하지 않고 있지만,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미국) 중에서 몇 가지만 간단!! 하게 찾아와봤습니다. 저는 주식하면서 계절성을 띠는 주식은 하지 않아서 생각해 본 적은 없습니다. 왜냐면 제가 투자하는 건 미국 지수 추종 ETF 투자만 하거든요. 근데 올여름과 겨울 날씨가 아주 극성이다 보니, 그냥 상식 수준에서 공부해둘까 생각이 들어서 알아봤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아주 세계 여러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 한파가 심해진.. 2024. 12. 25. 미국주식 페니스탁, 대박과 쪽박을 왔다 갔다 한 대기업들 (2) 안녕하세요!오늘은 어제 작성했던 페니스탁 글에 이어서 하나 더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어제는 페니스탁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오늘은 페니스탁에서 성공을 이룬 기업과, 반대로 페니스탁 수준으로 하락한 기업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페니스탁은 하고 있지 않지만, 가끔 이렇게 들으면 페니스탁의 변동성에 정신 못 차리겠더라고요. (페니스탁은 죽어도 하지 않을 예정..), 만약 제가 이런 기업들의 주주였다면, 바로 손절 나간 뒤에 쳐다도 보지 않았겠죠.. 구경 좀 하다 보니 페니스탁에서 대기업으로 왔다 갔다 한 기업들이 몇 개 있더라고요. 그중에서 다들 알만한 기업들만 골라와봤습니다. 우리가 지금 다 알만한 대기업들도 어느 순간 페니스탁 수준으로 돌아갈까요? 당시 이 기업들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꿈.. 2024. 12. 25. FOMC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미국증시 폭락, 나스닥 하루 낙폭 4%, 폭락장의 시작인가 안녕하세요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이 있고 나서 미국 증시는 폭락했습니다. 특히 나스닥 지수의 하루 낙폭은 4%로, 아침에 일어나서 처음 계좌를 봤을 때, 잘못 본 줄 알았습니다. 분명 어제만 해도 나스닥이 2만 위에 있었는데, 마치 꿈을 꾼 듯합니다. 분명 경제 지표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았는데... 기사를 찾아보니 내년 전망에 대한 연준의 스탠스가 바뀐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이번 FOMC에서 파월 의장의 발언은 우리에게 아주 오랫동안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처럼 들립니다.이제 지겹도록 듣던 폭락장의 시작일까요?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25년 전망치12월 FOMC 이전까지, 이와 관련한 뉴스 기사나, 분위기는 전혀 못 느꼈습니다. 2025년 S&P .. 2024. 12. 25. 이제야 실감 나는 육아휴직 제도, 2025년 변경점 출처 고용노동부나는 아이가 아직 없어서, 아이를 가진 입장을 정확히는 모르지만, 여태 정부가 발표한 출산율 관련 정책들은, 나에게 딱히 다가오지 않았다. 굉장히 붕 뜬 것 같은 느낌을 받았었다. 회사 친한 동기 형이 내년에 첫아이를 출산할 예정인데, 육아휴직 내용이 바뀌었다며 얘기를 해 주었다. 바뀌는 육아휴직은 여태 정책 중에서 가장 와닿는 내용들이 많았다.그래서 육아휴직에 관해 알아보니, 놀라운 사실들이 많았다. 정종우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육아휴직 이용률은 불과 19.8%라는 사실. 아니 이렇게나 심한 줄 전혀 모르고 있었다. 대체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고서 어떻게 일과 육아를 같이 하라는 건가. 지금이 무슨 80년대도 아니고. 출처 고용노.. 2024. 12. 2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0 다음 반응형